2014년 9월 9일 화요일

구글 스트리트뷰로 본 하와이의 기막힌 풍경 9


구글 스트리트뷰로 본 하와이의 기막힌 풍경 9

STREET VIEW OAHU

하와이가 끝내주는 관광지라는 건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하와이를 갈 만큼 넉넉하진 않다는 게 문제다.
걱정하지 마시라. 여기 방구석에서 하와이를 꼼꼼히 여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구글의 '트레커(Trekkers)' 덕분이다. 트레커란 스트리트뷰용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360도 카메라가 장착된 배낭이다. 차가 가기 어려운 곳을 배낭을 짊어지고 직접 돌아다니기에, 스트리트뷰의 눈높이가 우리에게 딱 맞다. 구글 트레커를 맨 사람들은 가장 멋진 자연환경과 상징적인 관광지를 걸어 다닌다.
구글은 하와이 관광 컨벤션 뷰로(HVCR)와 처음으로 파트너십을 맺었다. 그리고 작년에 트레커를 짊어지고 세계 지도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사람을 모집했다. 하와이가 트레커로 찍을 첫 번째 장소가 되었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훌륭한 작업이 완성됐다.
화산 스모그(VOG)로 덮인 와이키키해변의 풍경부터 코올라우 산맥의 꼭대기까지, 구글 스트리트뷰로 보는 하와이의 기막힌 풍경 9가지를 소개한다.
1. 누아누 팔리 전망대(Nuuanu Pali Lookout), 호놀룰루(Honolulu):
2. 마카푸 등대(Makapuu Lighthouse), 호놀룰루(Honolulu):
3. 선셋 해변(Sunset Beach), 카메하메하 고속도로(Kamehameha Highway), 할레이바(Haleiwa):
4. 마노아 폭포 트레일(Manoa Falls Trai)l, 호놀룰루(Honolulu):
5. 케이와 헤이아우 주립공원(Keaiwa Heiau State Park)/아이에아 루프 트레일(Aiea Loop Trail), 아이에아 하이츠 드라이브(Aiea Heights Drive), 아이에아(Aiea):
6. 산림 보존 지역 언덕과 전망대, 호놀룰루(Honolulu):
7. 와이알레 해변(Waialae Beach), 카할라 애비뉴(Kahala Avenue), 호놀룰루(Honolulu):
8. 히이아 주립공원 (Heeia State Park), 카메하메하 고속도로(Kamehameha Highway), 카네오(Kaneohe):
9. 뵤도 사원(Byodo-In Temple), 카헤키리 고속도로(Kahekili Highway), 카네오(Kaneohe):

2014년 9월 8일 월요일

애플 아이워치는 세상을 바꿀 것인가?

임규태
공학자, 벤처기업가, 미국 조지아공대 연 교수
http://www.huffingtonpost.kr/kyutae-lim/story_b_5748144.html?utm_hp_ref=korea

애플 아이워치는 세상을 바꿀 것인가?

게시됨: 업데이트됨: 
DICK TRACY

애플의 아이워치 탄생은 기정사실이다. 단지 시기가 문제일 뿐. 하지만 상당수는 여전히 스마트워치가 창조할 새로운 가치에 회의적이다. 삼성전자가 시장선점을 위해 급조한 갤럭시기어의 스펙타클한 실패는 회의론자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
과연 웨어러블 컴퓨터의 총아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를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 내 답은 "그렇다"이다. 여러분이 명심해야 하는 것은 "스마트워치 자체로는 그만한 가치를 창출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웨어러블 컴퓨터가 창조하게 될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보 생산자로서의 인간을 이해해야 한다.
2014-09-01-smartwatchcomparisonguide.jpg
(gizmag.com)
(1) 정보 생산자로서의 인간
인간은 끊임없이 정보를 생산하는 정보 생산자이다. 인간이 생산하는 정보는 다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의식적 정보: 인간이 자신의 의지로 만들어내는 정보로서, 생성 목적과 종착지가 명확히 존재한다. 여기에는 음성, 텍스트메시지, 비디오 영상 등이 있다.
2. 무의식적 정보: 개인 자신이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이며, 목적과 종착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는 맥박, 호흡, 체온 등과 같은 생체 정보와 위치, 걸음수, 구매 패턴 등 비자발적 정보가 포함된다.
아래의 그림은 개인으로부터 발생한 두 가지 정보들이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의식적 정보"는 여러분이 사용중인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이 하는 곳으로 전달된다. 즉,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자, 이제 아직 일어나지 않는 "무의식적 정보"의 전달 메커니즘을 살펴보자.
2014-09-01-human_smartwatch.jpg
(임규태)
(2) 무의식 정보의 전달
지금까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무의식적 정보는 생성되는 즉시 거품처럼 사라졌다.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컴퓨터는 바로 이 무의식적 정보를 캡처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시킨 후, 스마트폰으로 전달한다. 이때, 전력손실 문제로 웨어러블기기는 NFC나 블루투스 LE와 같은 근거리, 초저전력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바로 여기까지가 스마트워치로 대변되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역할이다.
즉, 스마트워치는 무의식 정보의 발굴자일 뿐, 그 자체로는 가치를 창출할 수 없다는 말이다.
(3) 무의식적 정보에 의한 가치 창조
자, 이제부터 무의식 정보를 통한 가치의 창출 과정을 알아보자.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디지털화 된 무의식적 정보는 스마트폰을 거쳐 클라우드에 모인다. 클라우드에 모인 수많은 사용자들의 정보들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되는데... 이 단계가 여러분이 귀에 못이 박히게 들어왔던 "빅데이터"다.
빅데이터에서 주물럭거려서 창조할 가치에 대해 여기서 다룰 생각은 없지만, 궁금해할 분들을 위해 딱 한 분야만 말해주겠다. 바로 사물통신 (IoT: Internet of Things) 이다. 사물통신 중에서, "인간-인간", "인간->기계"는 이미 존재하므로, 앞으로 IoT에서 가장 큰 가치가 창조할 부분은 바로 "기계-기계"와 "기계->인간"이다.
앞으로 빅데이터는 의식적인 정보가 아니라, 무의식적인 정보들로부터 더 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게 되는데, 무의식 정보가 더 큰 가치를 창조하는 이유는 무의식 정보의 양이 훨씬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기계-기계, 기계-인간)
자, 이제 여러분이 궁금해할 애플의 아이워치 얘기를 해보자.
(4) 애플의 아이워치
스마트워치의 핵심 가치가 클라우드에 있다는 내 말을 상기해보자. 애플은 아이워치 출시 전 어떤 준비를 해왔는가?
1.애플은 아이클라우드로 사용자들을 묶어놓고 있다.
2.애플은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자동 싱크 및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3.애플은 강력한 앱스토어 에코시스템과 앱 개발자군을 거느리고 있다.
4.애플은 최근 스위프트 프로그램을 공개하여 개발자 집단을 확장하고 있다.
5. 그리고, 또하나의 비밀 병기가 M7칩이다. (아래 사진)
2014-09-01-Appleiphone5Sprocessor.jpg
(thesmartwathreview.com)
2013년 공개된 M7칩은 애플 iOS기기들의 모든 센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특수 목적 IC이다. 그래픽칩과 같이 반복되는 작업을 IC로 구현하면,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보다 훨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문제는 현재의 iOS센서 작업량이 별도의 칩을 필요로 할 정도의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래픽 칩의 연산처리와 비교해보라!).
이 말은 M7가 앞으로 처리하게 될 "센서" 작업량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용도가 무엇인지 내가 굳이 말할 필요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5) 새로운 패러다임의 창조
사용자를 "모바일-클라우드" 에코시스템으로 확실하게 묶어놓지 않으면, 스마트워치는 그저 특이한 모양의 액세서리에 지나지 않는다. 이제는 여러분도 갤럭시기어가 왜 망했는지, 나이키가 스마트워치 부분을 대폭 감원해야 했는지 이해할 것이다.
반면, 애플은 서두르지 않았다. 아이클라우드와 M7칩의 준비가 그 증거다. 결론적으로, 나는 곧 출시될 아이워치가 사물통신과 결합해 정보사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고 예상하는 것이다. 아니 그러길 바란다.
끝으로 여러분의 궁금증을 풀어준다. 왜 웨어러블 컴퓨터가 수많은 액세서리 중 하필 시계의 모습으로 태어나는 것일까?
"웨어러블 컴퓨터가 시계로 태어나는 이유: 첫째, 인간의 팔이 생체신호를 가장 잘 캡처할 수 있고, 둘째, 신체 부위 중 운동량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

2014년 9월 2일 화요일

Wordpress to Blogger converter + Handy Tools

Ever wanted to move your WordPress blogs over to Blogger? This site can aid in the process!

Instructions

  1. Login to your WordPress account and navigate to the Dashboard for the blog that you'd like to transfer to Blogger.
  2. Click on the Manage tab below the Blog name.
  3. Click on the Export link below the Manage tab.
  4. Download the WordPress WXR export file by clicking on Download Export File.
  5. Save this file to your local machine.
  6. Browse to that saved document with the form below and click Convert.
     
  7. Save this file to your local machine. This file will be the contents of your posts/comments from WordPress in a Blogger export file.
  8. Login to your Blogger or create a new user.
  9. Once logged in, click on the Create a Blog link from the user dashboard, and then click on the Import Blog Tool
  10. Follow the instructions and upload your Blogger export file when prompted.
  11. After completing the import wizard, you should have a set of imported posts from WordPress that you can now publish to Blogger. Have fun!
NOTE: This hosted application will only allow downloads smaller than 1MB. 

For information on how to run this conversion on your own, visit the open source project hosted at code.google.com




Handy tools

SEO Tools


AdSense


Remove Space between Gadgets in Blogger Sidebar

Remove Space between Gadgets in Blogger Sidebar

Here's a popular question: "How do I remove spaces between gadgets on my sidebar?" I have seen this question being asked many times that I think a proper straight-forward tutorial is needed for this matter for future references. One might want to remove spaces between gadgets for various reasons. A common one is to use a picture gadget as a title, so the picture gadget needs to be really close with the next gadget to serve as a title. If you're interested in reducing space between your blog posts, see this tutorial instead.




Step 1:

As you might have already guessed, you have to identify your Gadget's ID. You have lots of elements in a page. CSS allows you to address a particular element or a particular group of elements via its class or ID. Please refer to this post on a brief note about IDs and Classes. Enough with the lecture, check out how you can identify your gadget's ID here. To play safe, identify both top and bottom gadgets' IDs (the space that will be removed lies between these two gadgets)

This is the ID of my gadgets (using my favorite add-on FireBug of course):



So my top gadget's ID is Label1, and my bottom gadget's ID is BlogArchive1.

Step 2:

If you're using the old Blogger interface:
 Go to Dashboard - Design - Template Designer - Advanced - Add CSS - paste the following code - Press enter after the last character of the last line } - Apply to Blog.

If you're using the new Blogger interface: Go to Dashboard ('House' symbol) - Template - Customize - Advanced - Add CSS - paste the following code - Press enter after the last character of the last line } - Apply to Blog. 
1
2
3
#Label1{
margin-bottom: -50px !important;
}

Replace 'Label1' with the ID of your top gadget. By doing this, the gap between these two gadgets will be reduc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you'd have to change the value 50 accordingly. You can use the following code too:

1
2
3
#BlogArchive1{
margin-top: -50px !important;
}

Where 'BlogArchive1' is the ID of your bottom gadget. You have seen two different ways on how you can reduce the gap between your gadgets. In most cases, just use either one of these methods and it will work like a charm. In some rare cases, you might have to use both these methods combined.

Also, if you want to reduce 2 gaps between 3 gadgets, checkout the screenshot below. It speaks for itself:


Now that you've gotten the idea, it's just a matter of creativity on how you use these useful tools. And yes, you can use 'margin-right' and 'margin-left' CSS attributes as well to move your gadgets/elements horizontally. Have fun!

[블로그 모바일 최적화] 구글 블로그 모바일 스킨의 위젯 구조

[블로그 모바일 최적화] 구글 블로그 모바일 스킨의 위젯 구조

블로그 모바일 스킨
구글 블로그의 모바일 스킨을 커스텀으로 꾸미고자 한다면, 웹버전의 색상과 글꼴 테마를 적용시키는 것 뿐 아니라, 위젯의 구조를 알고 위젯을 편집할 수 있어야 한다. 모바일버전은 웹버전처럼 세로2단 이상이 아닌, 세로 1단의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로1단의 모바일 스킨이 어떤 위젯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어떻게 편집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컬러나 폰트 등의 테마 변경 부분은 이전 포스트인 모바일 커스텀 테마 편 참조).


모바일 스킨의 위젯 구조

우선 이 구조 파악의 기초 지식은 구글의 custom mobile template 안내에 따랐음을 밝혀둔다.

디폴트 값으로 모바일 스킨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여섯 가지이다.

1. 헤더(Header) - 블로그 타이틀과 설명이 들어간다.
2. 포스트본문요소(Blog)
3. 블로그 저자 프로파일(Profile)
4. 페이지리스트(PageList) - 페이지 요소들. 첫 화면의 최신 글 리스트들도 사실은 페이지요소이다. 그 외에 다른 페이지 요소를 블로그에 추가해서, 웹버전에 상단이든지 옆부분이든지 사용하고 있다면, 모바일버전에 선택목록이 나타난다.
5. 애드센스(AdSense)
6. 저작권정보(Attribution) - powered by blogger 같은...

괄호안의 용어들은 구글 블로그 html 템플릿에서 사용되는 위젯의 id이다
물론 웹버전에 추가되어 있지 않는 구성요소가 있다면, 모바일에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웹버전에 저자프로파일 위젯이나, 애드센스가 없다면, 모바일 버전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 디폴트를 나타나지 않게 하거나, 디폴트가 아닌 요소들을 어떻게 나타나게 할 것인지 알아보자.

위젯을 원하는 대로 편집하자!

먼저 저작권정보를 예로 들어 보면,

<b:widget id="Attribution1" locked="true" title="Attribution" type="Attribution">

이런 식으로 시작된다. 여기서 locked="true"로 지정된 값은 레이아웃 편집 모드에서 위젯 삭제 버튼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아뭏든 여기 속성 중에 mobile="no"라고 첨가해 주면, 모바일에서 powered by blogger나 블로거 제공이나 이런 문구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여기까지가 구글의 안내에 따른 방법이 되겠다. 이 블로그는 디폴트로 지정된 저작권 정보가 없어진지 몇 주 되는지라 이 방법이 잘 기능하는지 시험해보지를 못했다.

대신 헤더 부분을 가지고 시험해 보았다.
html 편집 모드를 통해 본 이 블로그 헤더 부분 코드는 다음과 같다.
<b:section class='header' id='header' maxwidgets='1' showaddelement='no'>
<b:widget id='Header1' locked='false' title='헬라인의 weblog...[graphai](헤더)' type='Header'>

일단 헤더 위젯은 헤더 섹션 아래 들어가 있다. 헤더 섹션은 최대위젯수가 한개(maxwidgets='1')로 정해져 있다. 구글 안내대로, 두번째줄의 위젯 코드에 mobile='no'를 넣어주었다. 그 결과는...
헤더에 mobile=no 속성 지정 결과
블로그 타이틀 부분이 있는 헤더의 실종!!!

반대로 디폴트가 아닌 값을 모바일 템플릿에 넣고자 한다면, 해당 위젯코드에 mobile='yes'라고 기입해 주면 되겠다.
이 블로그 아래에 있는 copyright 어쩌구 하는 부분은 html/Javascript 위젯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원래의 저작권 정보(powered by blogger)가 편집이 불편해서 이렇게 만들어 주었다.
이 부분을 모바일 버전에도 나타나게 하고자 한다면,

<b:widget id='HTML3' locked='false' mobile='yes' title='' type='HTML'/>

이렇게 해당 위젯을 찾아서 mobile='yes'를 넣어주었다.(가젯코드 펼쳐보기를 하지 않으면 위젯의 제목부분만 나오므로, 원하는 위젯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화면 하단에 웹버전처럼  copyright...about me 등등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어떤 위젯이 모바일에서만 나오기를 원한다면, mobile='only'라고 기입해 넣으면 된다.

중요 위젯들의 id

방법을 알았다고 해도, 각종 위젯의 id를 알지 못한다면 이 방법은 무용지물이다. 위에서 열거된 디폴트 값들 외에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위젯들을 중심으로 위젯 id들은 다음과 같다.
  • 블로그목록 - BlogList1
  • 링크목록 - LinkList1
  • 인기글목록 - PopularPosts1
  • 라벨가젯구성 - Label1
  • 블로그보관함 - BlogArchieve1
  • 검색창 - CustomSearch1
  • 관심사용자 - Followers1
  • 통계 - Stats1
  • 구독링크 - Subscribe1
  • 슬라이드쇼 - Slideshow1
  • 비디오바 - VideoBar1
(위젯 id 뒤의 숫자 1은 동일 위젯이 다수가 되면 늘어나는 숫자이다. 하나만 있으면 1이 붙는다.)